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

거짓공감의 실체 AI가 발전할수록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기계가 대체하여 할 수 있기때문에 인간의 공감능력이야말로 구분되고 두각을 드러낼 수 있는 능력이라고들 말한다. MBTI의 T냐 F냐 를 나누어 반응별 공감능력을 판단하기도 하면서 공감은 사회성을 드러내는 능력수치로도 사용되는 것 같다. 아는 분이 나에게 고민을 털어놨다. “내가 아는 선배가 자기가 암에 걸렸다고 털어놨는데 그걸 듣고 실감이 안나더라구.... 그래서 어떤 표정을 지어야할지 모르겠었어.” ”그랬더니 그 선배가 나의 반응을 보고 실망해서 사이가 멀어진거 있지. 난 정말 현실감이 안와서 그런 것 뿐이었는데 내가 슬픈 표정을 짓지 않아서 서운했나봐.“ ”다시 해명을 해야하는데... 참 어렵네.“ 이 분의 마음이 어떤 것인지 나는 알 것 같았다. 일단 살다.. 2023. 11. 4.
중요하면 꼭 무거워야만 하는 것일까? 인생에서 책임감의 무게 인생의 즐거움과 관련해서 하나 느낀 게 있다면, 책임이란 게 인생의 즐거움을 깎아내는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책임감이란 맡아서 해야 할 임무나 의무를 중히 여기는 마음이라고 되어있다. 여느 자기 계발 책에서도 선택과 책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고 나 또한 인생의 어떤 상황 상황에서 또는 변곡점에서 하는 선택과 그에 따른 책임을 지는 태도는 주체적인 삶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책임의 짐이 너무 무거운 상황은 나를 너무 짓눌러 숨 가쁘게, 숨 막히게 만든다고 생각되지 않는가. 책임감과 즐거움의 관계 발레를 전공하여 외국 발레단에서 공연하는 대학생을 해외여행 중에 만났을 때, 그 대학생은 “제가 이걸 업으로 삼지 않았다면 정말 즐겁게 할 수 있었을 거.. 2023.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