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리히프롬4

진정한 사랑을 할 수 있는 사람- [사랑의 기술(에리히 프롬)]을 읽고 사랑이란어린 시절 ‘사랑’에는 연인간의 애로스(Eros)사랑, 친구와의 사랑인 스토르게(Storge), 무조건적인 사랑인 아가페(Agape)적 사랑만 있는 줄 알았다. 보통 대부분의 사람들은 태어나서 교육을 통해 자라 자립하고 결혼하여 가정을 이뤄 2세를 키우는 과정을 밟으면서 살아가게 된다. 그 과정에서 처음에 가장 관심을 가지는 것이 연인과의 사랑이다. 이 사랑을 책이나 드라마, 영화, 언론매체, 주변사람들을 보고 사랑을 익히다보니 막상 실제로 본인이 남녀간의 사랑을 시작 할 때 맞닥뜨리는 감정을 무조건 사랑이라고 믿어가며 사랑을 하게되는 것 같다. 하지만, 처음의 열정적인 혹은 순수하고 풋풋한 감정만이 사랑의 대표적인 면이라고는 할 수 없다. 어떤 사람들은 여러 번의 사랑 경험을 쌓아가면서 자신만의.. 2024. 5. 8.
공허한 마음 공허하다는 것은 비어있다는 뜻이고 그렇다면 뭔가를 채우는 삶을 살아야 하는데 뭘 채워야 하는 것일까. 직장에 열심히 다니다 뒤를 돌아봐도, 아이를 성심성의껏 키우다 뒤를 돌아봐도, 내 능력을 쌓기 위해 이것저것 바쁘게 살다 뒤를 돌아봐도, 어느 순간 내가 지나온 길들이 채우기를 위한 것이 맞는지 아니면 여전히 비어있어서 이런 마음이 드는 건지 궁금할 때가 있다. 이건 혹시 내 주변에 마음 맞는 친구나 동료가 없어서 채우지 못한 것일까? 아니면, 연인이나 가족들조차 나의 수고와 진심을 전부 알아주지 않아서 채우지 못한 것일까? 그 공허함을 어떤 걸로 채워야 하는가에 대한 것은 개개인마다 다르겠지만 어떤 것은 채웠음에도 밀물처럼 들어왔다가 썰물처럼 나가서 다시 공허해지는 것도 있을 것이다. 무엇으로 채워야 .. 2024. 1. 19.
아이를 낳아야하는 걸까? 같이 일하는 동료분이 말씀하셨다. “난 요즘 사람들이 결혼해서 아이를 낳지 않는게 이해가 안갑니다. 유모차에 아이대신 반려견을 태우고 다닌다는게... 아, 혹시 00씨 반려견 키우시나요?” “아니요.“ ”제 가족들도 반려견 키우는 집도 있지만, 결혼하고 아이를 낳지 않는 다는건 아닌 것 같아요.“ ”이 동네에서 10년을 살았지만 예전엔 안 그랬어요.” 직장동료분은 나보다 그저 나이가 많으셔서 이렇게 말씀하신 걸 수도 있고, 요즘 젊은세대를 걱정하시는 걸수도 혹은 출산율에 대해 걱정하시는 것일 수도 있겠다 사실 나는 결혼제도 자체가 아이를 보호하기위한 제도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결혼하면 아이를 낳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긴했다. 아이를 안 낳을 거면 그냥 연애만, 동거만 해도 행복하게 살 수 있지 않은가. 아이.. 2023. 11. 7.
소유냐 존재냐 - 에리히 프롬 (이 책이야!) 내가 원하고 원하던 글이다!! 이 책이야! 나의 마음속에 있는 생각을 누군가 논리적으로 정리해서 생각의 가시화해 놓은 것 같은 책을 만났을 때의 희열을 느껴본적이 있는가. 젊은시절 책의 필요성을 잘 모르던 나에게독서의 재미를 느끼게 해 준책이다. 소유의 삶이 있다 우리는 내 외모, 능력, 친구, 배우자, 자녀, 자산을 소유한다. 그리고 매일 먹는 음식도 소유하고, 습득하는 지식도 소유한다. 인생의 대부분이 소유이다보니 그저 소유하는 것이 당연하게만 느껴진다. 그러나 소유한 것은 또 지켜야하고 점점 더 많은 것을 소유하고 싶은 마음으로 살아간다. 나보다 많이 소유한 사람은 시기하고, 나보다 적게 소유한 사람은 내 것을 빼앗아갈까봐 두려워하기도 한다. 존재의 삶이 있다 나의 생명도 사실 나의 소유이기는 하다.. 2023. 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