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3 힘들어도 참는 마음은 어떻게 생길까? 쇼펜하우어는 말했다. ”인간의 행복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성격이다. 성격은 타고난 기질뿐맘 아니라 고통을 수용하는 능력도 포함한다.“ 인생은 필연적으로 고통을 수반한다. 어느 누구도 고통없이 산다고 할 수 없으리라. 환경이, 주변사람이, 나의마음이, 천성이 나를 종종 힘들게 하는데 이렇게 힘들 때 왜 어떤 사람은 잘 참아내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않을 걸까? 주변을 둘러보면 매사에 불만이고 힘들다고 하는 말을 달고 사는 사람이 있다(나도 그런 사람이었던 것 같고....) 똑같은 상황에서도, 힘든 것을 견디고 참아내 자양분으로 삼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아마도 그건 ‘주체적인 나’ ‘진정한 나’의 선택을 하는 사람이 아닐까한다. 우리나라는 대부분이 어릴 때부터 짜여진 교육 안에서 자라기때문에 내.. 2023. 11. 10. 거짓공감의 실체 AI가 발전할수록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기계가 대체하여 할 수 있기때문에 인간의 공감능력이야말로 구분되고 두각을 드러낼 수 있는 능력이라고들 말한다. MBTI의 T냐 F냐 를 나누어 반응별 공감능력을 판단하기도 하면서 공감은 사회성을 드러내는 능력수치로도 사용되는 것 같다. 아는 분이 나에게 고민을 털어놨다. “내가 아는 선배가 자기가 암에 걸렸다고 털어놨는데 그걸 듣고 실감이 안나더라구.... 그래서 어떤 표정을 지어야할지 모르겠었어.” ”그랬더니 그 선배가 나의 반응을 보고 실망해서 사이가 멀어진거 있지. 난 정말 현실감이 안와서 그런 것 뿐이었는데 내가 슬픈 표정을 짓지 않아서 서운했나봐.“ ”다시 해명을 해야하는데... 참 어렵네.“ 이 분의 마음이 어떤 것인지 나는 알 것 같았다. 일단 살다.. 2023. 11. 4. 중요하면 꼭 무거워야만 하는 것일까? 인생에서 책임감의 무게 인생의 즐거움과 관련해서 하나 느낀 게 있다면, 책임이란 게 인생의 즐거움을 깎아내는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책임감이란 맡아서 해야 할 임무나 의무를 중히 여기는 마음이라고 되어있다. 여느 자기 계발 책에서도 선택과 책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고 나 또한 인생의 어떤 상황 상황에서 또는 변곡점에서 하는 선택과 그에 따른 책임을 지는 태도는 주체적인 삶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책임의 짐이 너무 무거운 상황은 나를 너무 짓눌러 숨 가쁘게, 숨 막히게 만든다고 생각되지 않는가. 책임감과 즐거움의 관계 발레를 전공하여 외국 발레단에서 공연하는 대학생을 해외여행 중에 만났을 때, 그 대학생은 “제가 이걸 업으로 삼지 않았다면 정말 즐겁게 할 수 있었을 거.. 2023. 11. 4. 이전 1 다음